![[Python] 딕셔너리](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dG6wN0%2FbtrSUaXkRI0%2Fp6f9gBKCjaW0Zk4gtB3S41%2Fimg.jpg)
딕셔너리란? 다수의 값을 저장하는 구조 값(value)과 관련된 키(key)도 저장됨 키를 통해 값에 접근 순서가 없음 딕셔너리의 생성 딕셔너리_이름 = {키1 : 값1, 키2 : 값2, 키3 : 값3, ........} capitals = {} #공백 딕셔너리 생성 capitals = {"Korea" : "Seoul", "USA" : "Washingtom", "UK" : "London"} #키와 값을 정의 키는 반드시 불변 객체이며 유일해야 함 -유일한 문자열, 숫자 또는 튜플 항목 탐색하기 capitals ={"Korea":"Seoul","USA":"Washington","UK":"London"} print( capitals["Korea"]) # 해당 딕셔너리 키가 없을 경우 예외 발생 #출력 결과 ..
![[Python] 세트](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7ea0b%2FbtrSUGVWOBB%2FRG6fbfBoM8s9YYLZRmn7wk%2Fimg.jpg)
세트의 개념 세트는 우리가 수학에서 배웠던 집합의 개념과 똑같음 세트는 리스트와 다르게 요소는 특정 순서로 저장되지 않으며 위치별로 액세스 할 수 없음 순서 유지의 필요가 없어 속도가 빠름 순서가 없기에 중복 항목은 지원하지 않음 세트의 생성 세트의 생성 세트_이름 = {항목1, 항목2, 항목3, ...} numbers = {1,2,3} #초기화된 세트 생성 values = set() #공백 세트 생성 리스트와 문자열을 사용한 세트의 정의 리스트로 세트 정의 numbers =set([1,2,3,1,2,3]) print(numbers) #출력 결과 : {1,2,3} 중복 데이터는 하나로 전환 문자열로 세트 정의 letters = set("abcab”) 리스트와 세트 간 전환을 활용한 예제 -리스트의 중복..
![[Python] 튜플](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RGK4A%2FbtrSTwTPRgm%2FUCDAwbGbkmJCszVwBWUDD1%2Fimg.jpg)
튜플이란 튜플은 리스트와 동일한 형태 다른 점은 리스트와 다르게 변경이 불가능하다(read-only) 나머지 기능(인덱싱, 슬라이싱 등)은 리스트와 동일함 튜플은 소괄호()를 사용하여 정의 fruits = () #공백 튜플 생성 fruits = ("apple","banana","grape") #초기값을 가진 튜플 생성 result = fruits[1] # 인덱스를 사용해서 요소 접근 가능 튜플은 괄호 없이 항목을 쉼표로 분리하여도 자동으로 튜플을 생성함 fruits = ("apple","banana","grape") fruits = "apple", "banana", "grape" #괄호 없이 튜플 생성 튜플 생성 시 주의할 점 요소가 하나뿐인 튜플을 만들 때는 요소의 끝에 반드시 쉼표를 추가해야 함 쉼표..
![[Python] 리스트(2)](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TbaSM%2FbtrSWxKD7dy%2FJln9y41yBrAUANzZYxLM80%2Fimg.jpg)
이전 리스트에 관한 글을 읽고 싶다면 2022.12.06 - [Language/Python] - [Python] 리스트(1) [Python] 리스트(1) 리스트의 개요 리스트란? - 리스트는 항목들을 저장하는 컨테이너로서 그 안에 항목들이 순서를 가지고 저장됨 - 리스트의 크기는 항목의 개수가 증가(감소)하면 자동으로 증가(감소)함 -> 동적 rebugs.tistory.com 리스트 합병, 복제, 비교 리스트의 합병 및 복제 +연산자를 활용하여 2개의 리스트를 하나로 합병 가능 heroes1 = [ "아이언맨", "토르" ] heroes2 = [ "헐크", "스칼렛 위치" ] avengers = heroes1 + heroes2 # avengers는 ['아이언맨', '토르', '헐크', '스칼렛 위치']가..
![[Python] 리스트(1)](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K7QmR%2FbtrSUqTgCOk%2FQGdHdQ95Cl3MXjua68zlW0%2Fimg.jpg)
리스트의 개요 리스트란? - 리스트는 항목들을 저장하는 컨테이너로서 그 안에 항목들이 순서를 가지고 저장됨 - 리스트의 크기는 항목의 개수가 증가(감소)하면 자동으로 증가(감소)함 -> 동적 할당 - 리스트는 어떤 타입의 항목이라도 저장할 수 있음 - 파이썬에서 리스트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데이터 구조 리스트 항목 접근하기 인덱스(index) : 리스트에서의 항목의 위치(번호) 0부터 시작(메모리 주소 계산의 편의성) 리스트의 항목 변경 list1 = ["가", "나", "다", "라", "마"] list1[2] = "안녕" #2번째 인덱스의 값 변경 print(list1) 출력 결과는 ['가', '나', '안녕', '라', '마']이다. 음수 인덱스 마지막 데이터에 대한 빠른 접근 허용 리스트의 마지막..

[진수] [10진수] 기수가 10인 수 0, 1, 2 ,3, 4, 5, 6 ,7, 8, 9 -> 10개 수로 표현 [2진수] 기수가 2인 수 0, 1 두개의 수로 표현 [8진수와 16진수] [8진수] 0~7까지 8개의 수로 표현 2진수 3자리는 8진수 1자리 2진수에 해당하는 8진수 8진수 0 1 2 3 4 5 6 7 2진수 000 001 010 011 100 101 110 111 [16진수] 0~9, A~F까지 16개의 기호로 표현 2진수 4자리는 16진수 1자리 10진수 0 1 2 3 4 5 6 7 16진수 0 1 2 3 4 5 6 7 2진수 0000 0001 0010 0011 0100 0101 0110 0111 10진수 8 9 10 11 12 13 14 15 16진수 8 9 A B C D E F 2..

본 게시글은 유튜브 : 경제 TV 너무경 : 너무 쉬운 경제 윤성종 님의 유튜브 영상을 참고하였습니다.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글임을 알립니다. 금융용어정리 - 부동산 규제, LTV, DTI 부동산 규제 돈 빌리기 쉬움 -> 부동산 수요 증가 -> 부동산 가격 상승 정부의 부동산 규제 : 부동산의 수요 증가를 막는다 -> 돈 빌리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LTV와 DTI를 조정한다) 개념을 확장해서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물가의 수요가 증가하는 것이므로 이자(금리)를 높이면 물가 상승을 낮출 수 있다. 부동산을 규제하려면 LTV와 DTI를 낮춰야 한다. LTV Loan to Value ratio = 담보인정비율 = 주택담보대출비율 LTV의 기본적인 개념은 대출을 해서 부동산을 살 목적이라면 그 부동산을 보고 얼마..

본 게시글은 유튜브 : 경제 TV 너무경 : 너무 쉬운 경제 윤성종 님의 유튜브 영상을 참고하였습니다.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글임을 알립니다. 금융용어정리 - 자사주, 자사주 매입, 자사주 소각 자사주 자사주는 회사가 가지고 있는 주식을 말한다. 자사주 매입 자사주는 대주주 또는 주주가 사는 주식이 아니다. Ex) 한 회사에서 대주주 A, B 씨가 있는데, A씨가 B씨의 주식을 사드리는 것은 자사주 매입이 아니다. 자사주 매입이란 회사가 A, B씨 또는 다른 주주의 주식을 사들이는 것이 자사주 매입이다. 자사주 매입은 수요의 증가가 아니라 공급의 감소이다. 한 회사가 1000주의 주식이 있는데 A씨에게 600주, B씨에게 400주를 팔았다고 가정하면, 회사는 시장에 주식이 너무 많이 풀려서 가치가 떨어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