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Category/Spring

[Spring DB] 스프링 트랜잭션의 이해

ReBugs 2024. 4. 6.

이 글은 인프런 김영한님의 Spring 강의를 바탕으로 개인적인 정리를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

2024.03.02 - [Java Category/Spring] - [Spring DB] 트랜잭션 AOP

 

[Spring DB] 트랜잭션 AOP

이 글은 인프런 김영한님의 Spring 강의를 바탕으로 개인적인 정리를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 트랜잭션 AOP(Aspect-Oriented Programming)는 스프링 프레임워크가 트랜잭션 관리를 위해 제공하는 선언적 트

rebugs.tistory.com

위 포스트와 관련있습니다.


트랜잭션 적용 확인

@Transactional 을 통해 선언적 트랜잭션 방식을 사용하면 단순히 애노테이션 하나로 트랜잭션을 적용할 수 있다. 그런데 이 기능은 트랜잭션 관련 코드가 눈에 보이지 않고, AOP를 기반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실제 트랜잭션이 적용되 고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하기가 어렵다.

 

아래의 테스트 코드로 원리를 이해 할 수 있다.

@Slf4j
@SpringBootTest
public class TxBasicTest {
    @Autowired
    BasicService basicService;

    @Test
    void proxyCheck() {
        //BasicService$$EnhancerBySpringCGLIB...
        log.info("aop class={}", basicService.getClass());
        assertThat(AopUtils.isAopProxy(basicService)).isTrue();
    }

    @Test
    void txTest() {
        basicService.tx();
        basicService.nonTx();
    }

    @TestConfiguration
    static class TxApplyBasicConfig {
        @Bean
        BasicService basicService() {
            return new BasicService();
        }
    }

    @Slf4j
    @Transactional(readOnly = true)
    static class BasicService {

        //우선순위는 항상 더 구체적이고 자세한 것이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다.
        //클래스 레벨에서 (readOnly = true)이지만 메서드 레벨에서 (readOnly = false) 이기때문에 tx()는 읽기 작업과 쓰기 작업 모두 할 수 있다.
        //(readOnly = true) : 읽기만 가능
        //(readOnly = false) : 읽기. 쓰기 모두 가능
        @Transactional(readOnly = false)
        public void tx() {
            log.info("call tx");
            boolean txActive =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isActualTransactionActive(); //현재 쓰레드에 트랜잭션이 적용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기능
            log.info("tx active={}", txActive);
        }
        public void nonTx() {
            log.info("call nonTx");
            boolean txActive =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isActualTransactionActive(); //현재 쓰레드에 트랜잭션이 적용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기능
            log.info("tx active={}", txActive);
        }
    }
}

proxyCheck() - 실행

AopUtils.isAopProxy() : 선언적 트랜잭션 방식에서 스프링 트랜잭션은 AOP를 기반으로 동작한다.

@Transactional 을 메서드나 클래스에 붙이면 해당 객체는 트랜잭션 AOP 적용의 대상이 되고, 결과적으로 실제 객체 대신에 트랜잭션을 처리해주는 프록시 객체가 스프링 빈에 등록된다. 그리고 주입을 받을 때도 실제 객 체 대신에 프록시 객체가 주입된다.

클래스 이름을 출력해보면 basicService$$EnhancerBySpringCGLIB... 라고 프록시 클래스의 이름이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ransactional 애노테이션이 특정 클래스나 메서드에 하나라도 있으면 트랜잭션 AOP는 프록시를 만들어서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한다. 그리고 실제 basicService 객체 대신에 프록시인 basicService$ $CGLIB 를 스프링 빈에 등록한다.

그리고 프록시는 내부에 실제 basicService 를 참조하게 된다. 여기서 핵 심은 실제 객체 대신에 프록시가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되었다는 점이다.

 

클라이언트인 txBasicTest 는 스프링 컨테이너에 @Autowired BasicService basicService 로 의존관계 주입을 요청한다.

스프링 컨테이너에는 실제 객체 대신에 프록시가 스프링 빈으로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프록시를 주입한다.

프록시는 BasicService 를 상속해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다형성을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BasicService 대신에 프록시인BasicService$$CGLIB 를 주입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가 주입 받은 basicService$$CGLIB 는 트랜잭션을 적용하는 프록시이다.

 

basicService.tx() 호출

클라이언트가 basicService.tx() 를 호출하면, 프록시의 tx() 가 호출된다. 여기서 프록시는 tx() 메서드가 트랜잭션을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해본다. tx() 메서드에는 @Transactional 이 붙어있으므로 트랜잭션 적용 대상이다.
따라서 트랜잭션을 시작한 다음에 실제 basicService.tx() 를 호출한다.
그리고 실제 basicService.tx() 의 호출이 끝나서 프록시로 제어가(리턴) 돌아오면 프록시는 트랜잭션 로직을 커밋하거나 롤백해서 트랜잭션을 종료한다.

 

basicService.nonTx() 호출

클라이언트가 basicService.nonTx() 를 호출하면, 트랜잭션 프록시의 nonTx() 가 호출된다. 여기서 nonTx() 메서드가 트랜잭션을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해본다.

nonTx() 에는 @Transactional 이 없으므 로 적용 대상이 아니다. 따라서 트랜잭션을 시작하지 않고, basicService.nonTx() 를 호출하고 종료한다.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isActualTransactionActive()

현재 쓰레드에 트랜잭션이 적용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다. 결과가 true 면 트랜잭션이 적용되어 있는 것이다. 트랜잭션의 적용 여부를 가장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다.

 

 

트랜잭션 적용 위치

스프링에서 우선순위는 항상 더 구체적이고 자세한 것이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다.

 

예를 들어서 메서드와 클래스에 애노테이션을 붙일 수 있다면 더 구체적인 메서드가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다. 인터페이스와 해당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에 어노테이션을 붙일 수 있다면 더 구체적인 클래스가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다.

@SpringBootTest
public class TxLevelTest {
    @Autowired
    LevelService service;
    
    @Test
    void orderTest() {
        service.write();
        service.read();
    }
    
    @TestConfiguration
    static class TxApplyLevelConfig {
        @Bean
        LevelService levelService() {
            return new LevelService();
        }
    }
    
    //우선순위는 항상 더 구체적이고 자세한 것이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다.
    //클래스 레벨에서 (readOnly = true)이지만 메서드 레벨에서 (readOnly = false) 이기때문에 tx()는 읽기 작업과 쓰기 작업 모두 할 수 있다.
    //(readOnly = true) : 읽기만 가능
    //(readOnly = false) : 읽기. 쓰기 모두 가능
    @Slf4j
    @Transactional(readOnly = true)
    static class LevelService {
        @Transactional(readOnly = false)
        public void write() {
            log.info("call write");
            printTxInfo();
        }
        
        public void read() {
            log.info("call read");
            printTxInfo();
        }
        
        private void printTxInfo() {
            boolean txActive =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isActualTransactionActive();
            log.info("tx active={}", txActive);
            boolean readOnly =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isCurrentTransactionReadOnly();
            log.info("tx readOnly={}", readOnly);
        }
    } 
}

 

스프링의 @Transactional 은 다음 두 가지 규칙이 있다.

  1. 우선순위 규칙
  2. 클래스에 적용하면 메서드는 자동 적용

 

우선순위

LevelService 의 타입에 @Transactional(readOnly = true) 이 붙어있다.
write() : 해당 메서드에 @Transactional(readOnly = false) 이 붙어있다.

 

이렇게 되면 타입에 있는 @Transactional(readOnly = true) 와 해당 메서드에 있는 @Transactional(readOnly = false) 둘 중 하나를 적용해야 한다.

 

클래스 보다는 메서드가 더 구체적이므로 메서드에 있는 @Transactional(readOnly = false) 옵션을 사용한 트랜잭션이 적용된다.

 

클래스에 적용하면 메서드는 자동 적용

read() : 해당 메서드에 @Transactional 이 없다. 이 경우 더 상위인 클래스를 확인한다.

클래스에 @Transactional(readOnly = true) 이 적용되어 있다. 따라서 트랜잭션이 적용되고 readOnly = true 옵션을 사용하게 된다.

 

readOnly=false 는 기본 옵션이기 때문에 보통 생략한다.
@Transactional == @Transactional(readOnly=false)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isCurrentTransactionReadOnly

→현재 트랜잭션에 적용된 readOnly 옵션의 값을 반환한다.

 

  • write() 에서는 tx readOnly=false : 읽기 쓰기 트랜잭션이 적용되었다.
  • read() 에서는 tx readOnly=true : 읽기 전용 트랜잭션 옵션인 readOnly 가 적용되었다.

 

인터페이스에 @Transactional 적용

인터페이스에도 @Transactional 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음 순서로 적용된다.

 

  1. 클래스의 메서드 (우선순위가 가장 높다.)
  2. 클래스의 타입
  3. 인터페이스의 메서드
  4. 인터페이스의 타입 (우선순위가 가장 낮다.)

 

클래스의 메서드를 찾고, 만약 없으면 클래스의 타입을 찾고 만약 없으면 인터페이스의 메서드를 찾고 그래도 없으면 인 터페이스의 타입을 찾는다.

 

하지만 인터페이스에 @Transactional 사용하는 것은 스프링 공식 메뉴얼에서 권장하지 않는 방법이다.

AOP를 적용하는 방식에 따라서 인터페이스에 아노테이션을 두면 AOP가 적용이 되지 않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가급적 구체 클래스에 @Transactional 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트랜잭션 AOP 주의 사항

프록시 내부 호출 문제 상황

트랜잭션을 적용하려면 항상 프록시를 통해서 대상 객체(Target)을 호출해야 한다.

이렇게 해야 프록시에서 먼저 트랜잭션을 적용하고, 이후에 대상 객체를 호출하게 된다.

만약 프록시를 거치지 않고 대상 객체를 직접 호출하게 되면 AOP가 적용되지 않고, 트랜잭션도 적용되지 않는다.

AOP를 적용하면 스프링은 대상 객체 대신에 프록시를 스프링 빈으로 등록한다. 따라서 스프링은 의존관계 주입시에 항 상 실제 객체 대신에 프록시 객체를 주입한다. 

 

프록시 객체가 주입되기 때문에 대상 객체를 직접 호출하는 문제는 일반 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대상 객체의 내부에서 메서드 호출이 발생하면 프록시를 거치지 않고 대상 객체를 직접 호출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렇게 되면 @Transactional 이 있어도 트랜잭션이 적용되지 않는다. 

@Slf4j
@SpringBootTest
public class InternalCallV1Test {
    @Autowired
    CallService callService;

    @Test
    void printProxy() {
        log.info("callService class={}", callService.getClass());
    }

    @Test
    void internalCall() {
        callService.internal();
    }

    @Test
    void externalCall() {
        callService.external();
    }

    @TestConfiguration
    static class InternalCallV1Config {
        @Bean
        CallService callService() {
            return new CallService();
        }
    }

    @Slf4j
    static class CallService {
        
        //외부 메서드는 트랜잭션 어노테이션이 없다.
        public void external() {
            log.info("call external");
            printTxInfo();
            internal(); //외부에서 @Transactional 이 붙은 메서드를 실행하면 트랜잭션이 적용되지 않는다. -> 따로 클래스를 만들어야 한다.
        }

        //내부 메서드는 트랜잭션 어노테이션이 있다.
        @Transactional
        public void internal() {
            log.info("call internal");
            printTxInfo();
        }

        private void printTxInfo() {
            boolean txActive =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isActualTransactionActive();
            log.info("tx active={}", txActive);
        }
    }
}

CallService

  • external() 은 트랜잭션이 없다.
  • internal() 은 @Transactional 을 통해 트랜잭션을 적용한다.
  • @Transactional 이 하나라도 있으면 트랜잭션 프록시 객체가 만들어진다. 그리고 callService 빈을 주입받으면 트랜잭션 프록시 객체가 대신 주입된다.

 

internalCall() 실행

internalCall() 은 트랜잭션이 있는 코드인 internal() 을 호출한다.

  1. 클라이언트인 테스트 코드는 callService.internal() 을 호출한다. 여기서 callService 는 트랜 잭션 프록시이다.
  2. callService 의 트랜잭션 프록시가 호출된다.
  3. internal() 메서드에 @Transactional 이 붙어 있으므로 트랜잭션 프록시는 트랜잭션을 적용한다.
  4. 트랜잭션 적용 후 실제 callService 객체 인스턴스의 internal() 을 호출한다.

실제 callService 가 처리를 완료하면 응답이 트랜잭션 프록시로 돌아오고, 트랜잭션 프록시는 트랜잭션을 완료한다.

  • TransactionInterceptor 가 남긴 로그를 통해 트랜잭션 프록시가 트랜잭션을 적용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CallService 가 남긴 tx active=true 로그를 통해 트랜잭션이 적용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externalCall() 실행

externalCall() 은 트랜잭션이 없는 코드인 external() 을 호출한다.

external() 은 @Transactional 애노테이션이 없다. 따라서 트랜잭션 없이 시작한다. 그런데 내부에서 @Transactional 이 있는internal() 을 호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행 로그를 보면 트랜잭션 관련 코드가 전혀 보이지 않는다. 프록시가 아닌 실제 callService 에서 남긴 로그만 확인된다. 추가로 internal() 내부에서 호출한 tx active=false 로그를 통해 확실히 트랜잭션이 수행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nternal() 에서 트랜잭션이 전혀 적용되지 않았다.

 

 

  1. 클라이언트인 테스트 코드는 callService.external() 을 호출한다. 여기서 callService 는 트랜잭션 프록시이다.
  2. callService 의 트랜잭션 프록시가 호출된다.
  3. external() 메서드에는 @Transactional 이 없다. 따라서 트랜잭션 프록시는 트랜잭션을 적용하지 않는다.
  4. 트랜잭션 적용하지 않고, 실제 callService 객체 인스턴스의 external() 을 호출한다.

 

external() 은 내부에서 internal() 메서드를 호출한다.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발생한다.

 

문제 원인

자바 언어에서 메서드 앞에 별도의 참조가 없으면 this 라는 뜻으로 자기 자신의 인스턴스를 가리킨다.

 

결과적으로 자기 자신의 내부 메서드를 호출하는 this.internal() 이 되는데, 여기서 this 는 자기 자신을 가리키므로, 실제 대상 객체( target)의 인스턴스를 뜻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내부 호출은 프록시를 거치지 않는다. 따라서 트랜잭션을 적용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target 에 있는 internal() 을 직접 호출하게 된 것이다.

 

 

프록시 방식의 AOP 한계

@Transactional 를 사용하는 트랜잭션 AOP는 프록시를 사용한다. 프록시를 사용하면 메서드 내부 호출에 프록시를 적용할 수 없다.

 

 

프록시 내부 호출 문제 해결

메서드 내부 호출 때문에 트랜잭션 프록시가 적용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nternal() 메서드를 별도의 클래스로 분리해야 한다.

 

@SpringBootTest
public class InternalCallV2Test {
    @Autowired
    CallService callService;

    @Test
    void externalCallV2() {
        callService.external();
    }

    @TestConfiguration
    static class InternalCallV2Config {
        @Bean
        CallService callService() {
            return new CallService(innerService());
        }
        @Bean
        InternalService innerService() {
            return new InternalService();
        }
    }
    @Slf4j
    @RequiredArgsConstructor
    static class CallService {
        private final InternalService internalService;
        public void external() {
            log.info("call external");
            printTxInfo();
            internalService.internal();
        }
        private void printTxInfo() {
            boolean txActive =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isActualTransactionActive();
            log.info("tx active={}", txActive);
        }
    }
    @Slf4j
    static class InternalService { //별도의 클래스 생성
        @Transactional
        public void internal() {
            log.info("call internal");
            printTxInfo();
        }
        private void printTxInfo() {
            boolean txActive =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isActualTransactionActive();
            log.info("tx active={}", txActive);
        }
    }
}
  • InternalService 클래스를 만들고 internal() 메서드를 여기로 옮겼다. 이렇게 메서드 내부 호출을 외부 호출로 변경했다.
  • CallService 에는 트랜잭션 관련 코드가 전혀 없으므로 트랜잭션 프록시가 적용되지 않는다.
  • InternalService 에는 트랜잭션 관련 코드가 있으므로 트랜잭션 프록시가 적용된다.

  1. 클라이언트인 테스트 코드는 callService.external() 을 호출한다.
  2. callService 는 실제 callService 객체 인스턴스이다.
  3. callService 는 주입 받은 internalService.internal() 을 호출한다.
  4. internalService 는 트랜잭션 프록시이다. internal() 메서드에 @Transactional 이 붙어 있으 므로 트랜잭션 프록시는 트랜잭션을 적용한다.
  5. 트랜잭션 적용 후 실제 internalService 객체 인스턴스의 internal() 을 호출한다.

 

 

public 메서드만 트랜잭션 적용

스프링의 트랜잭션 AOP 기능은 public 메서드에만 트랜잭션을 적용하도록 기본 설정이 되어있다. 그래서 protected , private , package-visible(default 접근 제한자) 에는 트랜잭션이 적용되지 않는다.

protected ,package-visible 도 외부에서 호출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부분은 앞서 설명한 프록시의 내부 호출과는 무관하고, 스프링이 막아둔 것이다.

 

스프링 트랜잭션 관리의 디자인 철학은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레이어에서 비즈니스 로직의 실행을 관리하는 데 중점을 둔다.

서비스 레이어의 메소드는 일반적으로 public 접근 제한자를 사용하여 외부 컴포넌트로부터 호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메소드에서 트랜잭션 관리의 적용이 가장 의미있게 여겨진다.

 

만약 public 뿐만 아니라 다른 접근 제한자에도 적용이 가능하다면, 트랜잭션을 의도하지 않는 곳 까지 트랜잭션이 과도하게 적용된다.

 

이런 이유로 public 메서드에만 트랜잭션을 적용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스프링 부트 3.0 부터는 protected , package-visible (default 접근제한자)에도 트랜잭션이 적용된다.
https://github.com/spring-projects/spring-framework/commit/37bebeaaaf294ef350ec646604124b5b78c6e690

 

초기화 시점

스프링 초기화 시점에는 트랜잭션 AOP가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초기화 코드(예: @PostConstruct )와 @Transactional 을 함께 사용하면 트랜잭션이 적용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초기화 코드가 먼저 호출되고, 그 다음에 트랜잭션 AOP가 적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초기화 시점에는 해당 메서드에서 트랜잭션을 획득할 수 없다.

@PostConstruct
 @Transactional
 public void initV1() {
     log.info("Hello init @PostConstruct");
 }

 


가장 확실한 대안은 ApplicationReadyEvent 이벤트를 사용하는 것이다.

@EventListener(value = ApplicationReadyEvent.class)
 @Transactional
 public void init2() {
     log.info("Hello init ApplicationReadyEvent");
 }

이 이벤트는 트랜잭션 AOP를 포함한 스프링이 컨테이너가 완전히 생성되고 난 다음에 이벤트가 붙은 메서드를 호출해준다.

 

 

트랜잭션 옵션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

public @interface Transactional {
    String value() default "";
    String transactionManager() default "";
    Class<? extends Throwable>[] rollbackFor() default {};
    Class<? extends Throwable>[] noRollbackFor() default {};
    Propagation propagation() default Propagation.REQUIRED;
    Isolation isolation() default Isolation.DEFAULT;
    int timeout() default TransactionDefinition.TIMEOUT_DEFAULT;
    boolean readOnly() default false;
    String[] label() default {};
}

 

value 또는 transactionManager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는 여러 개의 트랜잭션 매니저를 사용할 수 있다. value 속성은 사용할 트랜잭션 매니저의 빈 이름을 지정한다. 만약 애플리케이션에 여러 트랜잭션 매니저가 존재할 경우, 이 속성을 통해 특정 트랜잭션 매니저를 선택할 수 있다. 기본값은 ""이며, 이 경우 스프링은 기본 트랜잭션 매니저를 사용한다.

public class TxService {
     @Transactional("memberTxManager")
     public void member() {...}
     @Transactional("orderTxManager")
     public void order() {...}
 }

어노테이션에서 속성이 하나인 경우 위 예처럼 value 는 생략하고 값을 바로 넣을 수 있다.

 

rollbackFor

예외 발생시 스프링 트랜잭션의 기본 정책은 다음과 같다.

  • 언체크 예외인 RuntimeException , Error 와 그 하위 예외가 발생하면 롤백한다.
  • 체크 예외인 Exception 과 그 하위 예외들은 커밋한다.

rollbackFor는 트랜잭션이 롤백되어야 하는 예외를 지정한다. 이 속성에 지정된 예외 타입이 메소드 실행 중에 발생하면, 스프링은 자동으로 트랜잭션을 롤백한다. 이는 RuntimeException과 그 서브 클래스에 대해 기본적으로 적용되지만, 체크 예외에 대해서는 명시적으로 지정해야 한다.

@Transactional(rollbackFor = Exception.class)

이렇게 지정하면 체크 예외인 Exception 이 발생해도 롤백하게 된다. (하위 예외들도 대상에 포함된다.)

 

noRollbackFor

이 속성은 트랜잭션이 롤백되지 않아야 하는 예외를 지정한다. 즉, 이 속성에 지정된 예외가 발생해도 트랜잭션이 계속 커밋되도록 한다.

 

propagation

트랜잭션의 전파 동작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이미 진행 중인 트랜잭션이 있는 상황에서 새로운 트랜잭션을 시작할지, 혹은 기존 트랜잭션에 참여할지를 결정한다. Propagation.REQUIRED는 기본값이며, 현재 진행 중인 트랜잭션이 없을 경우 새로운 트랜잭션을 시작한다.

 

isolation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의 격리 수준을 설정한다. 격리 수준에 따라 다른 트랜잭션으로부터의 동시성 문제를 어떻게 처리할지 결정한다. Isolation.DEFAULT는 데이터베이스의 기본 격리 수준을 사용한다.

대부분 데이터베이스에서 설정한 기준을 따른다. 애플리케이션 개발자가 트랜잭션 격리 수준을 직접 지정하는 경우는 드물다.

  • DEFAULT : 데이터베이스에서 설정한 격리 수준을 따른다.
  • READ_UNCOMMITTED` : 커밋되지 않은 읽기
  • READ_COMMITTED : 커밋된 읽기
  • REPEATABLE_READ : 반복 가능한 읽기
  • SERIALIZABLE : 직렬화 가능

 

timeout

트랜잭션이 완료되기를 기다리는 최대 시간을 초 단위로 지정한다. 이 시간을 초과하면 트랜잭션은 타임아웃되고 롤백된다. TransactionDefinition.TIMEOUT_DEFAULT는 데이터베이스 또는 트랜잭션 매니저의 기본 설정을 사용한다.

 

readOnly

이 속성이 true로 설정되면, 해당 트랜잭션은 읽기 전용으로 간주된다. 이는 트랜잭션이 데이터를 변경하지 않고 오직 읽기만 수행함을 나타낸다. 읽기 전용 트랜잭션은 성능 최적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트랜잭션은 기본적으로 읽기 쓰기가 모두 가능한 트랜잭션이 생성된다.
readOnly=true 옵션을 사용하면 읽기 전용 트랜잭션이 생성된다. 이 경우 등록, 수정, 삭제가 안되고 읽기 기능만 작동한다. (드라이버나 데이터베이스에 따라 정상 동작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readOnly 옵션을 사용하면 읽기에서 다양한 성능 최적화가 발생할 수 있다.

 

label

트랜잭션에 대한 라벨을 제공하여, 모니터링이나 로깅 시 트랜잭션을 식별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는 트랜잭션을 보다 쉽게 추적하고 관리하는 데 유용하다. (일반적으로 잘 사용 안함)

 

예외와 트랜잭션 커밋, 롤백

예외가 발생했는데,내부에서 예외를 처리하지 못하고, 트랜잭션 범위(@Transactional가 적용된 AOP)밖으로 예외를 던지면 어떻게 될까?

예외 발생시 스프링 트랜잭션 AOP는 예외의 종류에 따라 트랜잭션을 커밋하거나 롤백한다.

 

언체크 예외인 RuntimeException , Error 와 그 하위 예외가 발생하면 트랜잭션을 롤백한다.

 

체크 예외인 Exception 과 그 하위 예외가 발생하면 트랜잭션을 커밋한다.

 

물론 정상 응답(리턴)하면 트랜잭션을 커밋한다.

 

@SpringBootTest
public class RollbackTest {
    @Autowired
    RollbackService service;
    @Test
    void runtimeException() {
        assertThatThrownBy(() -> service.runtimeException())
                .isInstanceOf(RuntimeException.class);
    }
    @Test
    void checkedException() {
        assertThatThrownBy(() -> service.checkedException())
                .isInstanceOf(MyException.class);
    }
    @Test
    void rollbackFor() {
        assertThatThrownBy(() -> service.rollbackFor())
                .isInstanceOf(MyException.class);
    }
    @TestConfiguration
    static class RollbackTestConfig {
        @Bean
        RollbackService rollbackService() {
            return new RollbackService();
        }
    }

    @Slf4j
    static class RollbackService {

        //런타임 예외 발생: 롤백 @Transactional
        public void runtimeException() {
            log.info("call runtimeException");
            throw new RuntimeException();
        }

        //체크 예외 발생: 커밋
        @Transactional
        public void checkedException() throws MyException {
            log.info("call checkedException");
            throw new MyException();
        }

        //체크 예외 rollbackFor 지정: 롤백
        @Transactional(rollbackFor = MyException.class)
        public void rollbackFor() throws MyException {
                     log.info("call rollbackFor");
                     throw new MyException();
            }
    }
    static class MyException extends Exception {
    }
}

runtimeException: 이 메소드는 RuntimeException을 발생시키며,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이 없으므로 스프링의 기본 설정에 따라 이러한 종류의 예외 발생 시 트랜잭션이 롤백된다.

 

checkedException: 이 메소드는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선언적 트랜잭션 관리를 활성화하지만, 스프링의 기본 설정은 체크 예외가 발생할 때 트랜잭션을 롤백하지 않는다. 따라서 MyException 체크 예외가 발생하더라도 트랜잭션은 커밋된다.

 

rollbackFor: 이 메소드는 @Transactional(rollbackFor = MyException.class)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MyException 예외가 발생할 경우 명시적으로 트랜잭션을 롤백하도록 지정한다. 따라서 MyException이 발생하면 롤백이 수행된다.

 

'Java Category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DB] 트랜잭션 전파 활용  (0) 2024.04.11
[Spring DB] 트랜잭션 전파  (1) 2024.04.10
[Spring DB] MyBatis  (0) 2024.04.03
[Spring DB] 데이터 접근 계층 테스트  (0) 2024.04.02
[Spring DB] SimpleJdbcInsert  (0) 2024.04.0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