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입문] 스프링 빈과 의존관계
Back-End/Spring2024. 1. 22. 00:04[Spring 입문] 스프링 빈과 의존관계

이 글은 인프런 김영한님의 Spring 강의를 바탕으로 개인적인 정리를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 아래의 글에 연관이 있는 포스팅입니다. 2024.01.21 - [Java Category/Spring] - [Spring 입문] 회원 관리 예제 - 백엔드 개발 회원 가입하고 그 결과를 html을 통해 화면에 띄우려고 하는데, 그러러면 Controller와 View template가 필요하다. MemberController를 만들어서 사용해야 하는데, MemberController가 MemberService를 통해서 회원 가입을 하고, 데이터 조회를 해야 한다. 이런 것을 "MemberController가 MemberService를 의존한다" 라고 표현한다. 따라서 회원 컨트롤러가 회원서비스와 회원 리포지토리를..

[Spring 입문] 회원 관리 예제 - 백엔드 개발
Back-End/Spring2024. 1. 21. 00:32[Spring 입문] 회원 관리 예제 - 백엔드 개발

이 글은 인프런 김영한님의 Spring 강의를 바탕으로 개인적인 정리를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 비즈니스 요구사항 정리 데이터 : 회원 ID, 이름 기능 : 회원 등록(단, 중복 이름 허용X), 회원 조회 아직 DB가 선정되지 않은 상황 (가상의 시나리오) 일반적인 웹 애플리케이션 계층 구조 컨트롤러: 웹 MVC의 컨트롤러 역할 서비스: 핵심 비즈니스 로직 구현 (예를 들어 회원 중복 가입 허용 안됨과 같은 로직들 또한 비즈니스 도메인 객체를 가지고 핵심 비즈니스 로직이 동작하도록 구현한 객체) 리포지토리: 데이터베이스에 접근, 도메인 객체를 DB에 저장하고 관리 (아직 DB가 선정되지 않은 상태로 가정) 도메인: 비즈니스 도메인 객체, 예) 회원, 주문, 쿠폰 등등 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됨 클..

[Spring 입문] 스프링 웹 개발 기초
Back-End/Spring2024. 1. 20. 00:12[Spring 입문] 스프링 웹 개발 기초

이 글은 인프런 김영한님의 Spring 강의를 바탕으로 개인적인 정리를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 웹을 개발하는 방법에는 크게 세 가지가 있다. 1. 정적 컨텐츠 (static contents) 서버에서 따로 가공을 거치지 않고 파일을 웹 브라우저에 그대로 보내는 방식이다. 2. MVC와 템플릿 엔진(template engine) 과거의 JSP, PHP 같은 것들이 template engine이다. 정적 컨텐츠처럼 html을 웹 브라우저에 그대로 보내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를 가공 해서 html을 동적으로 바꿔서 웹 브라우저에 보내는 일을 한다. 이런 방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Model, View, Controller가 필요한데, 이를 합쳐서 MVC라고 부른다. 정적 컨텐츠와의 차이점 html을 웹 페이지에..

[Spring 입문] 프로젝트 환경 설정
Back-End/Spring2024. 1. 19. 00:10[Spring 입문] 프로젝트 환경 설정

이 글은 인프런 김영한님의 Spring 강의를 바탕으로 개인적인 정리를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 라이브러리 살펴보기 External Libraries Project 창에서 "External Libraries"를 찾을 수 있는데, 이 External Libraries를 보면 가져온 라이브러리들이 무엇인지 볼 수 있다. 해당 폴더를 펼치면 어떤 라이브러리들이 포함되어 있는지 알 수 있다. 하지만 항목들이 너무 많기 때문에 뭐가 뭔지 알기가 힘들다. 이럴 때에는 Gradle 탭을 활용하면 좋다. Gradle 탭 Gradle 탭의 Dependencies를 보면 선택한 라이브러리를 볼 수 있다. Denpendencies는 의존성이라는 뜻인데, gradle(maven)의 의존 관계를 관리해준다. Dependencie..

[Spring] 스프링 프로젝트 생성
Back-End/Spring2024. 1. 11. 00:05[Spring] 스프링 프로젝트 생성

이 글은 인프런 김영한님의 Spring 강의를 바탕으로 개인적인 정리를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 개발환경 Windows 11 pro IntelliJ 23.3.2 JDK 17 작성일 24년 1월 환경 변수 설정 JAVA_HOME 환경 변수 - 시스템 변수 - 새로 만들기 시스템 변수 편집에서 변수 이름은 JAVA_HOME, 변수 값은 JDK의 설치 경로로 잡는다. 확인 버튼을 누른다. CLASSPATH 다시 시스템 변수에서 새로 만들기를 클릭한다. 변수 이름은 CLASSPATH, 변수 값은 %JAVA_HOME%\lib 로 설정한다. 확인 버튼을 누른다. Path 환경 변수 편집 시스템 변수 - Path - 편집 버튼을 눌러서 환경 변수 편집 창을 띄운다. 새로 만들기 버튼으로 %JAVA_HOME%\bin를 ..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