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와 </p> 태그 사이에 텍스트를 입력하면 텍스트 앞뒤로 빈 줄이 생기면서 텍스트 단락이 만들어진다.
텍스트 단락의 내용이 길어서 웹 브라우저에 한 줄로 표시할 수 없을 경우에는 자동으로 줄이 바뀐다.
제목이나 주제를 나타내는 텍스트가 아니면 대부분 본문이기 때문에 p태그를 자주 사용한다.
<h1>레드향</h1><p>껍질에 붉은 빛이 돌아 레드향이라 불린다.</p><p>레드향은 한라봉과 귤을 교배한 것으로
일반 귤보다 2~3배 크고, 과육이 붉고 통통하다.</p><p>비타민 C와 비타민 P가 풍부해 혈액순환, 감기예방 등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p><h2>레드향 샐러드 레시피</h2><h2>상품 구성</h2>
텍스트 단락을 만들 때 원하는 위치에서 줄을 바꾸려면 <br> 태그를 사용하면 줄을 바꿀 수 있다.
<br> 태그는 단독으로 사용하므로 닫는 태그가 필요 없다.(인라인)
<h1>레드향</h1><p>껍질에 붉은 빛이 돌아 레드향이라 불린다.</p><p>레드향은 한라봉과 귤을 교배한 것으로 <br>일반 귤보다 2~3배 크고, 과육이 붉고 통통하다.</p><p>비타민 C와 비타민 P가 풍부해<br> 혈액순환, 감기예방 등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p><h2>레드향 샐러드 레시피</h2><h2>상품 구성</h2>
<br>과 <p>의 차이점 <br> 태그를 두 번 사용하면 빈 줄이 생기면서 텍스트 단락이 나뉜 것처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단락이 만들어진 게 아니므로 CSS를 사용해 텍스트 단락 스타일을 적용할 때 문제가 생긴다.
<h1>레드향</h1><p>껍질에 붉은 빛이 돌아 레드향이라 불린다.</p><p>레드향은 한라봉과 귤을 교배한 것으로 <br>일반 귤보다 2~3배 크고, 과육이 붉고 통통하다.</p><blockquote>비타민 C와 비타민 P가 풍부해<br> 혈액순환, 감기예방 등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blockquote><h2>레드향 샐러드 레시피</h2><h2>상품 구성</h2>
blockquote 태그는 반드시 한 개 이상의 p태그를 포함해야 한다. 그래서 p태그 내용에 blockquote 태그는 포함될 수 없다.
dl태그로 목록을 생성할 때는 li태그 대신에 dt태그로 용어를, dd태그로 용어 설명을 작성한다.
<dl><dt>HTML</dt><dd>HTML은 Hyper Text Markup Language의 약자로 웹 문서의 구조를 설계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언어입니다.</dd><dt>CSS</dt><dd>CSS는 Cascading Style Sheets의 약자로 웹 문서를 꾸미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언어입니다.</dd></dl>
src 속성 삽입하려는 이미지 경로를 입력하는 속성이다. HTML에서 이미지 경로는 항상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HTML 파일의 위치가 기준이다.
삽입하려는 이미지 파일이 HTML 파일과 같은 폴더에 있는 images 폴더에 있고 이미지 파일의 이름과 확장자가 beach.jpg라면 현재 폴더를 의미하는 ./ 기호를 사용해서 작성한다.
따라서 em 태그가 중첩된 텍스트는 실행 결과에서 강조 효과는 동일하지만 구조적으로 더 중요한 부분임을 의미하게 된다.
b태그와 i태그는 strong 태그와 em태그와 차이가 없을 정도로 유사하다. 하지만 HTML이 발전하면서 b태그와 i태그는 점점 사용하지 않는 추세이다. b태그와 i태그는 구조적으로 중요함을 나타내는 것이 아닌 단순히 텍스트를 굵게 만들거나 기울이는 것뿐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