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구조] 레지스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WpL61%2Fbtr6bt4vkLN%2FprJPbuOkqMzfoTjDKTBKY0%2Fimg.jpg)
이 글은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 구조 + 운영체제 (저자 : 강민철)의 책과 유튜브 영상을 참고하여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글임을 알립니다. 반드시 알아야 할 레지스터 프로그램 카운터 명령어 레지스터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 플래그 레지스터 범용 레지스터 스택 포인터 베이스 레지스터 프로그램 카운터 메모리에서 가져올 명령어의 주소(메모리에서 읽어 들일 명령어의 주소)를 저장 프로그램 카운터를 명령어 포인터라고 부르는 CPU도 있음 명령어 레지스터 방금 읽어 들어 들인 명령어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제어장치는 명령어 레지스터 속 명령어를 받아들이고 해석한 뒤 제어 신호를 내보냄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 메모리의 주소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CPU가 읽고자 하는 주소 값을 주소 버스로 보낼 때 메모리 주소..
![[컴퓨터 구조] 명령어의 구조와 주소 지정 방식](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wjHiK%2Fbtr2vnkUSMK%2Frbuw2sVIIN2RkhYhKkVdGK%2Fimg.jpg)
이 글은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 구조 + 운영체제 (저자 : 강민철)의 책과 유튜브 영상을 참고하여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글임을 알립니다. 연산 코드와 오퍼랜드 명령어는 연산 코드와 오퍼랜드로 구성되어 있다. 연산 코드 오퍼랜드 위 그림의 색으로 칠해져 있는 필드 값, 즉 '명령어가 수행할 연산'을 연산 코드라 하고, 흰색 배경 필드 값, 즉 '연산에 사용할 데이터' 또는 '연산에 사용할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를 오퍼랜드라고 한다. 후자가 훨씬 더 많이 사용하므로 이를 주소 필드라고 부르기도 한다. 연산 코드는 연산자, 오퍼랜드는 피연산자라고도 부른다. 이를 간단한 그림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명령어는 연산 코드와 오퍼랜드로 구성되어 있다. 연산 코드는 명령어가 수행할 연산이다. 오퍼랜드는 '연산에 사용..
![[컴퓨터 구조] 대략적인 컴퓨터 구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Oc2XZ%2Fbtr1bl3UDeT%2FGylTFIBKA0On4mGfPEgKX1%2Fimg.jpg)
이 글은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 구조 + 운영체제 (저자 : 강민철)의 책과 유튜브 영상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이 글은 대략적인 컴퓨터 구조를 정리하는 글입니다. 세세한 구조는 다루지 않습니다. 컴퓨터 구조는 아래와 같이 두 가지로 나뉜다.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 컴퓨터의 4가지 핵심 부품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는 아래와 같이 두 가지로 나뉜다. 데이터 명령어 데이터 컴퓨터 구조에서 데이터란 숫자, 문자, 이미지, 동영상과 같은 정적인 정보를 뜻한다. 컴퓨터와 주고받는 정보 또는 내부에 저장된 정보를 데이터라고 통칭하기도 한다. 컴퓨터는 모든 데이터를 0과 1로 저장한다. 명령어 컴퓨터를 한 마디로 정의한다면, 명령어를 처리하는 기계라고 할 수 있다. 명령어는 컴퓨터를 실질적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