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AWS 글로벌 인프라](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E8M0u%2FbtsNHrVYCLF%2FoLSDDIPiROFNDXRXiNf7Kk%2Fimg.png)
[AWS] AWS 글로벌 인프라DevOps/AWS2025. 4. 30. 20:12
Table of Contents
IaaS, PaaS, SaaS, 온프레미스
온프레미스(On-Premise)
- 모든 것을 직접 구축하고 운영하는 방식이다.
- 서버, 네트워크,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까지 모두 내가 책임지고 관리해야 한다.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 인프라(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가상화)만 빌려쓰는 방식이다.
- OS부터 애플리케이션까지는 내가 직접 설치하고 관리해야 한다.
- 대표 예: AWS EC2, Azure VM, GCP Compute Engine
PaaS (Platform as a Service)
- 운영체제, 미들웨어, 런타임 환경까지 제공해주며, 개발자는 데이터와 애플리케이션만 올리면 되는 방식이다.
- 대표 예: Heroku, AWS Elastic Beanstalk, Google App Engine
SaaS (Software as a Service)
- 모든 것이 다 준비된 상태로, 사용자는 접속해서 바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 대표 예: Gmail, Notion, Zoom, Microsoft 365
리전과 가용 영역
- 리전(Region) : 클라우드 서비스 자원이 모여있는 지리적 위치, 전 세계 약 30개 리전이 존재
- 가용영역(Availability Zone) : 리전 내에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센터 집합(한국 리전에 4개의 가용영역이 존재)
퍼블릭, 프라이빗,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퍼블릭 클라우드 (Public Cloud)
외부 업체(AWS, Azure, GCP 등)가 소유하고 운영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공공 인터넷을 통해 공유해서 사용하는 방식이다.
대표 예: AWS, Microsoft Azure, Google Cloud Platform 등
- 장점: 초기 비용 저렴, 빠른 구축, 확장성 뛰어남
- 단점: 보안 및 데이터 제어권 부족 가능성
프라이빗 클라우드 (Private Cloud)
기업 내부에서 전용으로 구축하거나 운영업체에게 위탁하여 단독 사용하는 방식이다.
모든 리소스가 독점적이며, 외부 고객과 공유되지 않는다.
- 장점: 보안성 뛰어남, 데이터 통제권 확보
- 단점: 구축·운영 비용 높고, 확장 유연성 떨어짐
사용 방식: 대기업이나 금융기관 등이 민감한 데이터를 다룰 때 주로 사용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Hybrid Cloud)
퍼블릭과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동시에 사용하는 구조이다.
클라우드와 비클라우드(즉, 온프레미스)를 함께 사용하는 구조 전반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민감한 데이터는 프라이빗에, 일반 서비스는 퍼블릭에 두는 식으로 혼합 사용한다.
- 장점: 보안과 유연성의 균형 확보, 상황에 맞는 탄력적 대응 가능
- 단점: 구성 복잡, 데이터 이동 시 관리 포인트 증가
예시 : 스프링 애플리케이션은 EC2에, 데이터베이스는 온프레미스로 구성하여 서비스
'DevOps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고가용성 인프라 구축 (0) | 2025.05.02 |
---|---|
[AWS] VPC(Virtual Private Cloud) (0) | 2025.04.30 |
[AWS + SpringBoot] 시간대 설정하기 (0) | 2024.09.20 |
[AWS] Mac 에서 터미널로 EC2 접속 (0) | 2024.09.04 |
[AWS, JPA, MySQL] Table doesn't exist (0) | 2024.06.30 |